폐의약품 수거함 우체통 위치 찾는 방법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폐의약품을 버릴 수 있는 수거함 중 서울 지역은 우체통에도 배출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요즘 우체통을 이용하는 경우가 드물다 보니 우리 동네 어디에 있는지 위치를 잘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우체통 위치 찾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지난 글에서 ‘폐의약품 버리는 방법 5가지’를 알아보았습니다. 가까운 주민센터와 구청 보건소 그리고 건강보험공단 지사 민원실에 있는 수거함에 폐의약품을 배출하거나 우체통에 넣는 방법이었습니다.

이렇게 폐의약품을 따로 수거함에 버리는 이유는 우리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서 입니다. 무심코 집에 쌓여 있는 폐의약품을 쓰레기봉투나 하수구로 버리게 되면 매립 과정에서 약 성분이 땅이나 하천 등으로 유입돼 환경을 오염시키기 때문입니다.

또한 항생제에 내성이 생긴, 어떠한 약도 듣지 않는 수퍼 박테리아로 건강에 위협이 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전용 수거함이 마련된 것입니다.

폐의약품 수거함 우체통 위치 찾기

공중전화처럼 예전에는 동네마다 참 흔하게 볼 수 있는 것이 우체통이었는데 이제는 어디에 설치되었는지도 모르게 되었네요. 사실 저도 우체통에 편지를 넣어 본 적이 언제였는지 모를 정도로 오래 되었습니다. 가끔은 잊혀지는 존재에 대해 아쉬운 마음은 드네요.

어쨌든 오늘은 24시간 언제든 폐의약품을 버릴 수 있는, 가까운 곳의 우체통 위치를 찾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우정사업본부 누리집을 연결해보겠습니다.

처음에 ‘나는 우체국을 찾는 게 아니라 우체통인데?’라는 생각으로 이리저리 찾아보니 안 나오더라고요. 우정사업본부에 없다면 어디에서 찾으라는 거야? 라며 열심히 이리저리 돌아다니다가 찾았습니다.

먼저 <우체국찾기>를 클릭해 주세요.

왼쪽에는 이렇게 우체국 위치를 검색하는 옵션이 나오고 오른쪽에는 주소가 표시되기 때문에 상세 위치를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화면이 뜨기 때문에 ‘우체국 위치만 찾는 줄 알고 ‘여기가 아닌가 봐’라고 되돌아 나왔습니다.

옵션을 선택해야 합니다. [지도 검색] 탭에서 현재 지도를 기준으로 Km를 선택할 수도 있고 <전체>탭에서 우체국 우체통 365코너 무인창고 우표판매소 그리고 펀드판매우체국 위치를 모두 검색해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요즘 우표를 어디서 판매하는 지 몰라서 그냥 우체국을 방문하기도 했는데 이곳에서 ,우편판매소> 위치도 찾아볼 수가 있네요.

또 다른 방법은 [일반검색] 탭에서도 검색 가능합니다. 앞에 [지도검색]보다 <분류>와 <조건>이 직관적으로 잘 보이는 이것이 더 찾기 쉬워 보이네요.

지도를 보면서 검색하는 방법이든, 우체국 주소나 우체국명을 입력해서 찾는 방법이든 찾기 쉬운 검색 방법을 이용해 보세요.

폐의약품 우체통 배출 방법

주민센터나 보건소에서 나눠주는 ‘폐의약품 회수 봉투’에 넣거나 아니면 일반 봉투에 넣어 밀봉해서 봉투를 우체통에 넣어주시면 됩니다.

주의하실 점은 봉투에 꼭 폐의약품이라는 것을 알 수 있도록 [폐의약품]이라고 적어주셔야 하고 물약이나 시럽 그리고 연고는 안됩니다.

조제약이나 캡슐에 들어 있는 알약이나 가루약은 굳이 약 비닐을 찢지 않고 포장 및 밀봉 상태 그대로 배출하시면 됩니다.

이렇게 폐의약품을 버릴 수 있는 가까운 우체통 위치를 찾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주위에 설치된 우체통이 없다면 우체국이나 주민센터 보건소 모두 가능합니다. ‘나 하나 쯤이야’ 라는 생각으로 귀찮아서 쓰레기봉투에 그냥 넣어버리지 마시고 미리 보관했다가 위 기관을 방문할 기회가 있을 때 가져가시는 것은 어떨까요?

무심코 내가 버린 약이 언젠가 무서운 독이 되어 되돌아 올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