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청년이라면 이사비 40만 원 지원받으세요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서울 청년이라면 이사비 지원을 받으세요. 점점 어려워지는 경제 여건에 맞춰서, 서울시에서는 청년의 주거 생활에 도움이 되는 지원이 계속 나오고 있습니다. 그중에서 이사를 가는 경우 부동산 중개보수 및 이사비를 지원 받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특히 올해는 2022년도에 비해 지원 대상의 폭을 넓혀서 더 많은 청년들에게 기회를 제공하고 있으니 이사를 하셨다면 놓치지 마시고 꼭 지원하시기를 바랍니다.

서울 청년 이사비 지원이란?

서울시가 일자리나 학업 등으로 이사가 잦은 청년들의 주거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서 ‘청년 부동산 중개보수 및 이사비 지원사업’ 참여자를 5월 9일 부터 모집합니다. 보다 실질적인 지원이 될 수 있도록 신청 자격의 문턱을 낮췄습니다. 대상자로 선정되면 최대 40만 원이 계좌로 입금됩니다.

지원대상

2022년 11월 17일 이후 이사한 만 19~39세 무주택 청년가구가 대상입니다.
(2023년 기준으로 1983년 1월 1일 ~ 2004년 12월 31일 출생 청년)
-소득은 가구당 기준 중위소득 150%이하
-주택은 거래금액 2억 원 이하 전•월세 거주(전세보증금 또는 월세 환산 보증금)

혼자 거주는 1인 청년 가구 뿐만 아니라, 주민등록등본상 함께 거주는 동거인(부모 배우자)등이 있는 경우도 가능합니다. 단 주민등록등본의 세대주와 임대계약상의 임차인이 신청자 본인이어야 합니다.

거래금액 계산법

만약에 월세액이 있다면 (월세액 × 100)이 됩니다.
만약 월세보증금이 1억 원, 월세액이 50만 원의 경우라면,
거래금액은 월세보증금 1억 원 + (50 × 100 = 5천 만원) = 1억 5천 만원이 됩니다.
월세가 있다면 이렇게 계산해보세요.

제외대상

주택을 보유,
다른기관에서 지원을 이미 받은 경우,
부모 소유의 주택에 임차한 경우,
국민기초생활수급자 중 생계 의료 주거급여 수급자는 제외됩니다.

지원내용

부동산 중개보수, 이사비 그리고 올해부터 이사 시 구매한 ‘종이 가구 비용’도 지원합니다.

청년은 자주 옮겨 다니는 편입니다. 그때마다 가구를 구입하거나 버리는 게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가구 폐기물도 줄이고 환경오염 문제도 개선하는 ‘종이 가구’ 구입이 늘어나는 추세에 맞춰서 이번에 지원 내용에 포함되었습니다.

신청방법

‘청년몽땅정보통’ 온라인 신청

신청기간

2023. 5. 9 ~ 6. 9일 18시까지 입니다.

서울시는 7월 중 서류심사 결과를 발표
10일간 이의신청을 거쳐서 8월까지 최종 지원 대상을 선정 발표하고 지원금을 지급할 예정입니다.

선정기준


만약 신정차가 선정 인원을 초과하는 경우
-장애인, 자립준비청년 등 ‘사회적약자’
-반지하, 옥탑방, 고시원에 거주하는 ‘주거취약청년’
-소득이 맞은 순서로 우선 선정합니다.

이상으로 서울시의 청년 이사 지원 프로그램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사 지원 프로그램은 청년들의 생활 안정성을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청년들은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새로운 도시에서 살아가는 데에 필요한 지원을 받을 수 있으니,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본인에게 맞는 주거 환경을 찾아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