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 입출금 알림 SNS 푸쉬 설정 방법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앱에서 입출금 알림을 받을 수 있는 농협 알림 설정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요즘은 모바일 기기를 통해 거래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입출금 내역에 대한 정보를 빠르게 확인하고 싶으시죠. 이를 위해 농협 앱에서 입출금 알림을 설정하는 방법을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NH 올원뱅크 VS NH콕뱅크

시작하기 전에 먼저 농협 앱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농협 뱅킹과 관련된 어플은 올원뱅크와 콕뱅크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처음에 앱을 다운로드 할 때는 어느 것을 선택해야 할 지 헷갈리더라고요.

농협은 농협중앙회와 단위농협이 있습니다. 농협중앙회는 농협은행으로 일반 은행과 같은 제 1금융권이고, 단위농협은 지역농협이라고도 하는데 저축은행처럼 제 2금융권으로 서로 다릅니다. 이 두 기관은 이름이 비슷하지만 닮은 듯 다른 기관입니다. 취급하는 업무에서도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NH 올원뱅크는 농협중앙회 앱이고 NH콕뱅크는 단위농협의 앱입니다. 그러므로 자신의 주거래은행이 농협중앙회인지 단위농협인지에 따라서 어플을 설치하시면 됩니다.

NH 올원뱅크 입출금 알림 설정

저는 올원뱅크를 이용하기 때문에 여기서 입출금 알림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농협 알림 설정

올원뱅크 앱의 초기화면입니다. <가로세줄> 부분을 클릭해주세요.

농협 알림 설정 방법

<마이올원>을 선택해주세요. 여기서 <나의 계좌관리> 뿐만 아니라 나의 정보내역이나 활동내역 그리고 가입해지까지 모두 설정할 수 있습니다.

<나의 계좌관리>에서 <일출금알림>을 클릭해주세요.

저는 농협에 계좌가 3개가 있지만 현재 PUSH 신청은 많이 사용하는 1계좌만 신청되어 있습니다. 다른 통장은 그다지 입출금 내역의 변동이 거의 없기 때문입니다.

다른 한편으로는 신청할 당시에 제 기억으로는 PUSH 알림은 1계좌만 무료로 가능하고 다른 계좌는 비용을 내는 줄 알았습니다. 그런데 이번에 다시 설정해보니 아니더라고요. 모두 10개까지 등록이 가능한 것으로 나왔습니다. 그래서 다른 계좌를 추가 등록해보겠습니다.

가지고 있는 계좌가 모두 나옵니다. 추가로 선택할 계좌를 클릭해주세요.

<자동 설정>은 금액, 시간, 자동이체 등의 제한 없이 모든 거래 내역이 실시간으로 발송됩니다. 만약 방해금지 시간을 설정하거나 입금 출금 등 따로 옵션을 변경하시려면 <직접설정>으로 변경해주세요.

<적용하기>를 클릭하시면 설정이 완료되었습니다.

올원뱅크 SNS 신청

PUSH는 앱에서 무료로 가능하고 별도로 SNS도 유료로 신청이 가능합니다. 위의 <입출금 알림>에서 <SNS 신청>을 클릭해주세요. PUSH 설정과 똑같이 알림 계좌을 선택할 수 있는 목록이 나옵니다. 그중 추가할 계좌를 선택합니다.

무료인 PUSH와 달리 SNS는 한 달에 900원을 내는 정액제와, 알림 건당 20원을 지불하는 종량제 중에서 요금제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계좌 비밀번호를 입력 후 <계좌확인>을 해주세요. 마지막으로 휴대폰번호를 여러 대 등록할 수 있습니다. 만약 입출금 내역을 다른 사람과 공유한다면 SNS 알림을 설정한 후 휴대폰 번호를 함께 등록하시면 되겠지요?

이상으로 농협 앱에서 입출금 알림 설정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제 모바일 기기를 통해 거래를 하실 때 더욱 편리하게 입출금 내역을 확인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농협 올원캔디 적립 방법 및 출석체크

농협 모바일 통장 사본 저장 및 공유 방법